수놀음 [1283027]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4-01-03 11:26:15
조회수 2,442

수학 문제 풀 때 계획(생각)을 왜 안해? (수능10번)

게시글 주소: https://faitcalc.orbi.kr/00066345624

2024학년도 수능 10번


대부분의 풀이는 이렇습니다.


풀면서 이상함을 못 느꼈을까요...? 적분하고 다시 미분하고...? 풀이 계획을 세우지 않고 맨위에서 부터 그냥 풀이를 시작하게되면 불필요한 연산을 계속해서 하게됩니다.














문제를 읽고 풀이를 계획해봅시다.





1. 무엇을 묻고 있는가?

 문제에서 묻는 것은 시각 t=a에서 t=b까지 점 Q가 움직인 거리입니다.

그렇다면 a와 b가 뭐인지 알아야겠죠?










2. 정보와 단서를 통한 해석과 연산

 a와 b는 P, Q 사이의 거리인 f(t)가 감소하는 t의 범위 입니다. 그렇다면 

에서 절댓값 안의 함수를로 표현하여 g(t)함수의 증감을 판정합니다. 


문제에서 감소하는 구간이 [a,b] 밖에 없다고 했으므로 a=2, b=6으로



이렇게 답이 나옵니다.








문제를 풀이할 때 계획하지 않고 푼다면 필연적으로 시간이 모자랄 수 밖에 없습니다.


생각하는 시간계산하는 시간
19
27
33



문제를 어떻게 푸시겠습니까?













1탄 [글의 시작 - 묻는 것에 따라 어떻게 계획하고 행동을 할 것인가 생각하자] 

https://orbi.kr/00065414965



2탄 [해설지가 뭐 이래...? 해설이 아니라 계산지 아닌가....? (feat. 수능 13번)]

https://orbi.kr/00066190271



3탄 [수능 5번, 맞힌 문제로 공부하기]

https://orbi.kr/00066220722



4탄 [추측과 정당화, 수능 12번 (부모의 마음을 가진 평가원)]

https://orbi.kr/00066251170



5탄 [강사 중 제대로 푸는 것을 본적이 없는 문제]

https://orbi.kr/00066299662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