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이란 무엇인가? - 6편
2017학년도 6평에 '퍼셉트론 지문'이라 하여 인공신경망, 즉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지문이 나왔었습니다. 해당 지문의 주제는 '어떻게 하면 컴퓨터가 학습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였습니다. 해당 주제에 대한 답은 '출력값과 정답이 같아지도록 가중치를 계속 조정한다' 였습니다.
(많은 학생들에게 충공깽을 날렸던 해당 지문의 19번 문제. 그런데 주제를 파악했다면 좀 더 쉽게 풀어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수능 국어 지문에 대한 분석은 나중에 제가 쓰는 책과 더불어 자세히 할 것이고, 이번 시간에는 해당 지문이 말했던 '가중치'에 대해서 고찰하는 기회를 가져보겠습니다.
'출력값이 정답에 수렴하도록 가중치를 끊임없이 조정한다'는 말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왜냐하면 인간 또한 마찬가지로 가중치를 계속 조정하는 연습을 통해서 정답에 더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여러가지 예시를 들 수 있습니다. 양궁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처음 화살을 쏜다면 아마 과녁에 빗맞을 확률이 더 높을 것입니다. 처음 한번 시험삼아 쏴봤는데, 너무 아래쪽으로 휘어져버렸습니다. 그럼 다음에 쏠 때는 좀 더 위쪽을 향해서 쏘겠죠. 그런데 두번째로 쐇더니 이번에는 과녁에는 더 가까워지긴 했습니다만, 이번엔 위로 빗나가버립니다.
그래서 이런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하여 방향과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목표에 더 정확히 명중하도록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풍부하다면 다음에는 오차를 수정하는 일을 적게 하고서도 빠르게 명중시킬 수 있습니다.
(정확한 명중을 위해 계속해서 오차를 수정하는 모습)
제가 전쟁사를 연재하니까 밀리터리로도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양궁과 비슷하게 원거리에서 적을 포격하는 임무를 맡은 포병은 실제로 관측과 사격을 하는 일을 어렵게 여깁니다. 바람의 방향이라던지, 상대방 위치의 불확실성, 아군 포탄의 산포도 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래서 지금의 현대처럼 사격관제시스템이 발전하지 못했던 시대에는 관측병이 직접 눈과 망원경, 연필을 이용해서 상대방의 위치를 측정하고 포격지점 좌표를 전달했습니다. 그 좌표를 보고 포병은 사격을 가했는데, 첫번째의 초탄은 빗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포병은 그 초탄과 목표의 차이를 확인하고, 다시 각도와 방향을 재조정하여 쏘았습니다. 이렇게 계속해서 조금씩 오차를 수정해나가면서 목표를 향해 쏘면, 포탄은 자연스럽게 목표에 가까워지고 결국에는 명중합니다.
태평양 해전 초기에도 해안포를 이용한 함선 명중은 어려운 일이었으며, 지속적인 사격을 통해 목표와의 오차를 확인하고 수정하면서 정확도를 높였었습니다.
(지금은 기술력의 발전으로 빠른 상대방 위치 추적과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나 과거에는 많이 쏴재끼면서 오차를 수정하며 목표에 도달했습니다)
결국 인간이 FPS 게임을 하든, 해안포를 쏘든, 양궁을 하든 어떤 활동이라도 한번에 처음부터 정확히 목표에 도달하는 일은 적을 것입니다. 많은 연습과 시행착오를 통해서 경험을 쌓고, 지속적인 피드백과 수정을 통해 오차를 줄이고 정확성을 높여야하죠.
결국 이런 점을 본다면 인공지능의 학습은 우리 인간의 학습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적용시킨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는 감각적으로 알고 있으며 여태 무의식적으로 해온 활동이지만, 인공지능에게는 아주 혁명적인 발전이겠죠.
전쟁사 시리즈(약 11편 예정)
https://orbi.kr/00020060720 - 1편 압박과 효율
https://orbi.kr/00020306143 - 2편 유추와 추론
https://orbi.kr/00020849914 - 번외편 훈련과 숙련도
https://orbi.kr/00021308888 - 3편 새로움과 적응
https://orbi.kr/00021468232 - 4편 선택과 집중
https://orbi.kr/00021679447 - 번외편 외교전
https://orbi.kr/00021846957 - 5편 공감과 상상
https://orbi.kr/00022929626 - 6편 정보전
https://orbi.kr/00023174255 - 7편 실수와 인지오류
https://orbi.kr/00023283922 - 번외편 발상의 전환
https://orbi.kr/00023553493 - 8편 준비와 위기대응
https://orbi.kr/00023840910 - 번외편 비전투병과
https://orbi.kr/00024082234 - 9편 예상과 예측
https://orbi.kr/00024160983 - 10편 신뢰성
알고리즘 학습법(4편예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삼국지 이야기
https://orbi.kr/00024250945 - 1편 일관성과 신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새터 14만원? 0
맞냐이거 2박3일
-
지구과학1 질문 0
1. 행성이 중심별로부터 단위시간, 면적당 받는 복사에너지가 중심별과 행성 사이...
-
2시간 2메인 대 하 니 3메인 가즈아ㅏㅏㅏㅏ
-
연애하는 방법 13
1. 수의대에 합격한다 64.환자랑 사랑에 빠진다
-
넘 틀.딱 같나,,, 나름 건강 음주 생활 하고픈데
-
시간이 잘가네,
-
입어도 되나요??!!
-
님들이라면 머 선택하나용..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과기대25] [동아리 추천]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
5년 딸깍하고 나면 불로소득 월 1400씩 나옴
-
진짜 어쩌죠 ㅠㅠ 노베 엔수생인데 치대 꼭 가고싶어요 ㅠㅠ. . . . 치대가서...
-
공대는 학점 짜고 문과는 학점 개퍼주는게 말이 안됨 지들 이유로는 로스쿨가야되니까...
-
진짜 ㅈ반고 내신은 이딴 시험지로 학생의 대학을 결정해도 되는건가 싶을정도로 역겹고...
-
우월의식이있나 7
글에서 이상한냄새가 ㅋㅋㅠㅠㅠ
-
지역 내에서는 예쁘기로 유명했음
-
부모님이 관심이 많으셨던건가요 아니면 걍 여러분이 수능준비를 하면서 많은 정보를 알게된건가요
-
어떤 ㅅㄲ가 내 이름 더럽히냐
-
안녕하십니까. 한대산 영어 연구소입니다. 2026학년도를 맞아 3월 모의고사 대비...
-
말하면 특정이라 뭐라고 설명할 수는 없는데 예뻤음
-
모쏠 탈출하는법 2
1.태어난다 5941.여친을 사귄다
-
대통령이 채점 ㄱㄱ
-
32살 한의사 자격증 취득 vs 29살 회계사 취득 5
님들이라면 머 고르나요..
-
중딩때 공부해서 4
외대부고 그런거 갈걸 전사고다니고싶었음
-
자살률 1위하고 행복지표 꼴지하는게 디스토피아여서 인것도 있지만가장큰 이유는...
-
거기출신 옯창이 많던데
-
옥중에 계신 국 선생님의 '가붕개'를 받아들이고 양산에서 발 편히 뻗고 계신...
-
진짜 왜 하는지 이해가 1도 안됨 벌써부터 삼수 예정인지 27입시 얘기임? 27까진...
-
그날 그 아이한테 공부해야돼서 고딩때 연애 안할거라고 하지 말기
-
소득요건만 되면 위장이혼하고 한부모전형 쓰면 좀만 공부해도 다 서울대갈듯
-
내신반 10% 수능반 90% 내신반 all 1등급 보장+ 좋은 세특(서울대 목표)...
-
요즘 고등학교 7
다 폰 안걷음? 우리학교만 그런가
-
교복이 예뻤음 ㄹㅇ
-
미국 51번째 주로 편입되면 환율 걱정 안 해도 되고 남북관계 고려 안 해도 됨...
-
일케보면 미미미누가 그렇게 특이케이스 같지도 않음
-
듣는 노래
-
[공지] 오르비스 옵티무스 기하 응시자 정모 안내 15
안녕하십니까 오르비에 상주하고 계시는 기붕이 여러분. 현재 기하 선택과목이 큰...
-
특성화고 졸업 후 빠른 취직
-
수능 12211 연대식 695 초중반 내신 3.19 지역에서 내신 따기 어렵기로...
-
현재 지1하고 있고 2등급이 목표입니다 제가 암기는 진짜 도무지 제대로 안할 거...
-
이따가 편의점에서 사오게
-
한일고같은 거
-
수능 60점 내신 40점이면 수능 60점은 백분위 합(300점)을 5로 나눠서 계산...
-
하는 판단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국어를 아무리 해도 1컷이 한계임 물론 더 열심히...
-
에 따른 중학교 서열화 에 따른 초등학교 서열화 에 따른 유치원 서열화 안될걸 알긴 하지만
-
지역인재 돌아가는 꼬라지 보면 지금 입시할애들은 중학교때부터 얼른 전라도로 이사가야할것같은데
-
모든 화1러에게서 표점을 빼앗아라.
요글엔 댓글이 없네요.
항상 좋은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보고있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