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zeZ2QyXaovWT4 [673568] · MS 2016 · 쪽지

2016-07-10 13:05:27
조회수 17,941

문학에서 `관조적`이라는 단어가 나오면, 멘붕 오는 분?

게시글 주소: https://faitcalc.orbi.kr/0008727427




운문체가, 함축적인 데다가,
'자아 성찰'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어서,

'관조적인 태도' 인지, 아닌지부터, 헷갈리는데,



국어사전
관조적 
(觀照的)
[관형사·명사] 1. 고요한 마음으로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하거나 비추어 보는. 또는 그런 것.



심란한 마음으로,
눈 앞의 사물의 움직임에 크게 동요하는 모습이 그려지는 경우,

ex). 나뭇잎이 물들면서, 과거의 나를 회상하며, 죄지은 과거를 성찰
나뭇잎이 떨어지면서, 아~ 내 인생도 이처럼 곧 끝이 나겠구나! 이런 말을 하며, 바닥에 엎드짐...

→ 이것은 '관조적인 태도' 라고 보아야 하나? 말아야 하나? 부터가 멘붕이 옮



'관조적' 이라는 말이 나오면, 명확히 구분하는 법을 알려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