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칠] 순열/조합 단원과 확률 단원에서 ‘경우의 수’ 세기
오르비언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다들 설 연휴는 무사히(?) 보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친척들과 다양한 얘기를 나누셨을텐데…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지금의 나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은 머리 속에 새기고,
그렇지 않은 것은 빨리 잊으세요 ^^
오늘 할 얘기는 ‘경우의 수’에 대한 것입니다.
‘순열/조합 단원’에서는 같은 경우로 봤던 것을
‘확률 단원’에서는 다른 경우로 구분해야 할 때가 있죠?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여기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순열/조합 단원에서 경우의 수를 셀 때는 ‘눈’이 기준입니다.
눈으로 봐서 구별이 안되는 대상들은 뽑거나 나열할 때
순서가 바뀌더라도 같은 경우라는 얘기죠.
반면에 확률 단원에서 경우의 수를 셀 때는 ‘대상’이 기준입니다.
눈으로 봐서 구별이 안되더라도 뽑거나 나열할 때의
순서가 바뀌면 다른 경우로 봐야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 봅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상자 안에 흰 공, 빨간 공, 파란 공이 1개씩 들어있습니다.
(각각의 공은 크기, 모양 등이 일정하고 색상만 다릅니다.)
여기서 공 1개를 꺼내는 시행을 합니다.
그럼 순열/조합 단원에서든, 확률 단원에서든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흰 공이 나오는 경우, 빨간 공이 나오는 경우, 파란 공이 나오는 경우
세 가지로 똑같습니다.
다음으로 상자에 흰 공 1개를 추가해서
흰 공 2개, 빨간 공 1개, 파란 공 1개가 되도록 합니다.
여기서 공 1개를 꺼내는 시행을 하면 경우의 수는 어떻게 될까요?
순열/조합 단원에서라면 흰 공 2개를 구별 할 수 없기 때문에 경우의 수는
흰 공이 나오는 경우, 빨간 공이 나오는 경우, 파란 공이 나오는 경우
세 가지로 변함 없습니다.
하지만 확률 단원에서는 다릅니다. 흰 공 2개를 서로 다른 것으로 봐야 하기 때문에
흰 공이 나오는 경우 두 가지, 빨간 공이 나오는 경우 한 가지, 파란 공이 나오는 경우 한 가지
총 네 가지가 됩니다.
이제 공을 더 늘려서
흰 공 3개, 빨간 공 2개, 파란 공 1개가 되도록 합니다.
여기서 공 1개를 꺼낼 때의 경우의 수도
순열/조합 단원에서라면
흰 공이 나오는 경우, 빨간 공이 나오는 경우, 파란 공이 나오는 경우
세 가지로 변함 없지만,
확률 단원에서라면 같은 색의 공들을 서로 다른 것으로 봐야 하기 때문에
흰 공이 나오는 경우 세 가지, 빨간 공이 나오는 경우 두 가지, 파란 공이 나오는 경우 한 가지
총 여섯 가지가 됩니다.
그렇다면… 이런 의문이 생깁니다.
왜 확률 단원에서는 대상을 기준으로 경우의 수를 세야 하지?
이것은 ‘수학적 확률’의 전제 조건 때문입니다.
각각의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같아야 한다는 것이죠.
상자 속에 흰 공, 빨간 공, 파란 공이 1개씩 들어있을 때 공 1개를 꺼내면
흰 공이 나오는 경우, 빨간 공이 나오는 경우, 파란 공이 나오는 경우
가 일어날 가능성은 같습니다.
하지만 흰 공 2개, 빨간 공 1개, 파란 공 1개가 들어있을 때 공 1개를 꺼내면
흰 공이 나오는 경우, 빨간 공이 나오는 경우, 파란 공이 나오는 경우
가 일어날 가능성은 다릅니다.
흰 공이 다른 공보다 많기 때문에 흰 공이 나올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죠.
이때는 흰 공 2개를 서로 다른 것으로 보고
흰 공이 나오는 경우 두 가지, 빨간 공이 나오는 경우 한 가지, 파란 공이 나오는 경우 한 가지
총 네 가지 경우가 일어나는 것으로 봐야 각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같아집니다.
그래서 흰 공이 나올 확률은 2 / 4 = 1 / 2이 됩니다.
그럼 기출 문제 하나 풀어봐야죠.
다음은 2007학년도 수능 9월 모평 나형 문제입니다.
순열/조합 단원에서처럼 경우의 수를 따진다면
같은 색 구슬끼리 서로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모든 경우의 수는
흰 구슬만 3개 나오는 경우, 흰 구슬 2개와 검은 구슬 1개가 나오는 경우,
흰 구슬 1개와 검은 구슬 2개가 나오는 경우, 검은 구슬만 3개 나오는 경우
총 네 가지가 되고, 흰 구슬 1개와 검은 구슬 2개가 나올 확률은 1 / 4이 됩니다.
하지만 각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다르기 때문에 위 확률은 틀렸죠.
(흰 구슬이 4개, 검은 구슬이 5개이므로 흰 구슬이 3개 나올 가능성보다
검은 구슬이 3개 나올 가능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확률 단원에서처럼 경우의 수를 따진다면
색상에 관계 없이 각각의 구슬을 서로 다른 것으로 보기 때문에
모든 경우의 수는 9개의 구슬 가운데 3개의 구슬을 선택하는 방법의 수 ₉C₃과 같고,
흰 구슬 1개와 검은 구슬 2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가 ₄C₁x₅C₂이므로
확률은 ₄C₁x₅C₂ / ₉C₃ = 10 / 21이 됩니다.
이쪽이 옳은 확률이죠.
다른 예로 넘어가서…
대상을 나열하는 시행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다들 알고 있다시피
세 개의 문자 A, B, C를 한 줄로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
순열에 의해 3! = 6가지입니다.
여기에 A를 추가해서
네 개의 문자 A, A, B, C를 한 줄로 나열하는 방법의 수를 생각해볼까요?
순열/조합 단원에서라면 2개의 A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은 대상이 있는 순열에 따라 4! / 2! = 12 가지가 됩니다.
하지만 확률 단원에서는 2개의 A를 서로 다른 것으로 보고
순열에 따라 4! = 24가지로 세야 하죠.
왜냐? 여기서도
‘각각의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같아야 한다’
는 전제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A, A, B, C를 한 줄로 나열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인 BCAA에서
B와 C의 자리를 바꾸면 CBAA가 되고 BCAA와 다른 경우가 됩니다.
그렇다면 A와 A의 자리를 바꿀 때도 다른 경우로 취급해야
B, C의 자리를 바꿀 때와 대등한 관계가 되고, 가능성이 같아지는 겁니다.
(2개의 A를 A와 A’으로 구분하면 쉽게 이해됩니다.)
마지막 예로
크기가 다른 2개의 주사위를 던지는 시행을 생각해봅시다.
시행의 결과를 순서쌍 (큰 주사위의 눈, 작은 주사위의 눈)으로 나타내면
(1, 1)부터 (6, 6)까지 총 36가지 경우의 수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각각의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도 똑같습니다.
순열/조합 단원이든, 확률 단원이든 마찬가지죠.
그럼 똑같이 생긴 2개의 주사위를 던지는 시행은 어떨까요?
순열/조합 단원에서라면 두 주사위를 구별 할 수 없기 때문에
1과 2의 눈이 나올 때, 2와 1의 눈이 나올 때를 같은 경우로 봅니다.
따라서 모든 경우는
1과 1, 1과 2, 1과 3, 1과 4, 1과 5, 1과 6,
2와 2, 2와 3, 2와 4, 2와 5, 2와 6,
3과 3, 3과 4, 3과 5, 3과 6,
4와 4, 4와 5, 4와 6,
5와 5, 5와 6,
6과 6
총 21가지가 되고, 1~6의 눈 가운데 중복을 허락해서 2개의 눈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 ₆H₂=₇C₂와 같습니다.
물론 각각의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은 같지가 않지요.
하지만 확률 단원에서라면 두 주사위를 서로 다른 것으로 보기 때문에
1과 2의 눈이 나올 때, 2와 1의 눈이 나올 때를 다른 경우로 봅니다.
따라서 모든 경우는
1과 1, 1과 2, 1과 3, 1과 4, 1과 5, 1과 6,
2와 1, 2와 2, 2와 3, 2와 4, 2와 5, 2와 6,
3과 1, 3과 2, 3과 3, 3과 4, 3과 5, 3과 6,
4와 1, 4와 2, 4와 3, 4와 4, 4와 5, 4와 6,
5와 1, 5와 2, 5와 3, 5와 4, 5와 5, 5와 6,
6과 1, 6과 2, 6과 3, 6과 4, 6과 5, 6과 6
총 36가지가 되고, 1~6의 눈 가운데 중복을 허락해서 2개의 눈을
선택하고 나열하는 경우의 수 ₆Π₂와 같습니다.
여기서는 각각의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똑같죠.
위 예처럼 순열/조합 단원에서는
똑같이 생긴 2개의 주사위를 던지는 시행에서 경우의 수를 세는 것이
까다롭기 때문에 ‘서로 다른’ 2개의 주사위를 던지는 시행만 다루는 것이 보통입니다.
간단한 글이 될 줄 알았는데 의외로 길어졌네요.
기본 개념 다지는 시기라 확률과 통계 부분 공부하시는 분들도 많을텐데
이 글이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ㄹㅇ
-
목동 시대 단과 0
이동준쌤 목동 시대 단과 공통반 마감이던데 라이브반이나 어떻게 들을 방법 없을까요?...
-
천잰데?
-
깨고 싶지 않은데 7시만 돼면 눈이 떠지는 이 기묘한 시츄에이션…
-
나지금지하철 2
학교 일등으로 가겠구나
-
잠이안옴
-
응떡 마렵네 0
이따 먹을까
-
얼리버드 취침 4
-
당황스럽네 뭐지 진짜 둘다 1 못받은건 이번이 처음이라 그런가
-
크아아아!!! 얼버기 11
오늘? 2시에 자는 사소한 이슈로 인해 기상이 쉽지 않았네요... (저는...
-
시대 겨울 단과 1
시대 단과 처음 갈 예정입니다. 미적 개념을 듣고 싶은데 어떤 선생님이 좋을까요?
-
근본적인? 행복은 존재에서 나오는게 아닐까 사람들이 우선 성취에서 기쁨을 느끼지만...
-
얼버기 3
ㅈㄱㄴ 오늘도 화이팅!
-
김민재 골이라니 4
ㅇㄱㅈㅉㅇㅇ?
-
기상 완료 드디어 오늘 예비군 마지막날
-
열심히 해보곤 있는데 원래 과탐에 stay 할 것 같네요,,, 십헬과목
-
인듯... 외모관리 중요한듯.
-
선결론) 물2 24.77, 47, 99, 69~70 화2 23.80, 44,...
-
궁금한게 2년뒤 대학에 입학하려면 최소 공군을 5월에 입대해야하는데 커트라인 보니깐...
-
77ㅓ억 간만에 대승이구나
-
얼버기 1
진짜 이른 기상이다 수도병원 가야해 피곤s
-
다 맞게써도 답안이 교수님 맘에 안들면 합격 못한다는거 진짠가여!?ㅠㅠ
-
안녕하세요 고3 정시생입니다 제가 고2 6모때 수학 높5맞고 고2 8월에 정시로...
-
밤샌다매. 12
님들아. 잠 안잘거라매.
-
ㄱ ㄱㄱㄱㄱㄱ
-
Ebs 기준으로 컷예측하고 ebs가 타사이트보다 백분위랑 표점이 널널해서다<< 라는...
-
아짜증남 0
대충 수능 망쳐서 딴 사람하고 비교되어 슬프다는 글썼는데 이런 글쓸시간에...
-
챔스보자
-
섹스
-
95 100 100 100을 성적표 오류라고 100 100 100 100으로 속임
-
기존 로고가 걍 눈알 심볼이니까 1. 눈알 심볼 그대로에 얇은 선으로 날렵하게...
-
전대 정시 0
54363인데 전대 하위과 정시 지원할만 한가요 언매 미적 생윤 사문입니다
-
전 260-280 사이
-
졸리다 2
바바
-
어렸을때 구몬한자 배우면서 사이비가 한자인걸 깨닫고 충격먹었음 이게 무슨 헹가래가...
-
수능끝나면 연락준다고 했는데 아직까지 연락 없는거보면 사이비한테도 걸러진듯...ㅠㅠ
-
예 예 예 예예예 예 예 예 예 예 예 예예예예~
-
가족 제외 전화 포함해서 전 5:5
-
얼버기 4
-
씹덕만 들어와줘 22
이전 프사랑 지금프사 머가 더 나아?
-
애매하게 고대 붙어서 반수하는 것보다 아예 3떨하고 절치부심으로 쌩4수해서 당당히...
-
누가 글좀 써봐 8
나 심심해
-
고뱃은 설캠으로 따려고 안받음 그래야 합격 실감이 나지 않겠음?
-
맨날 들어도 어른들이시거나 또래 남자애들 뿐이었음
-
맞팔하실분 ㄱㄱ 4
저는 항상 잡답태그를 답니다
-
덕코복권 무서운 진실 11
이렇게까지 1등이 안나온 적도 있다
-
MBTI 인증 0
NOW BEFORE INFJ에서 ENFP로 변화
-
너도 내 맘 안다면 ?
-
심심하다 2
배고프다
-
뭔가 전부 50:50 느낌임 중립적인 사람 ㄷㄷ
이런글 감사합니다~! 스크랩하겠습니다
절대 안지우니 두고두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주사위는 경위의 수든 확률이든 무조건 다르게 취급해야하죠?
예를 들면 주사위 두개를 던질때 두눈의 합이 9인 경우의수 같은거요
본문 마지막에도 써있지만 두 주사위가 똑같이 생겼을 때
확률 단원에서는 서로 다른 것으로 취급하지만,
순열/조합 단원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즉, 확률 단원에서는 (1, 2)와 (2, 1)이 다른 경우지만
순열/조합 단원에서는 1의 눈과 2의 눈이 하나씩 나온 것이기 때문에
구별이 안되서 같은 경우로 보는 거죠.
그래서 교과서나 문제집을 보면
순열/조합 단원에서는 똑같은 두 주사위를 던지는 시행에 대한
경우의 수를 묻는 문제는 없습니다.
알피엠확통10p 문젠데요
서로다른두개의주사위를 동시에 던질 때,나오는 눈의수의합이 4의배수가 되는 경우의수는? 답이 9로 나와있습니다 답지에는 1,3 3,1을 따로 세던데... ㅠ
'서로 다른' 두 개의 주사위잖아요 ^^
그럼 1, 3이 나올 때와 3, 1이 나올 때는
눈으로 구분할 수 있으니 다른 경우죠.
제 얘긴 '서로 같은' 두 개의 주사위일 때가
구별이 안된다는 뜻이었습니다.
읔 그렇군요 ... ㅋㅋ제가 잘못 봤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혹시 작년 6월 연필 문제 얘기인가요?
개념을 깊이 있게 반영한 문제였나 봅니다 ^^
9평 이과15번이요
ㅁ몇몇 인강선생님께서도 잘못해설했었죠
아~ 이 문제 얘기였군요 ^^
확률 문제라 두 개의 1을 서로 다른 대상으로 취급하는 것이 핵심이죠.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근원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맞춰야하니까 그렇죠!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빙고! 확률 단원에서는
(경우의 수)=(근원사건의 개수)
가 되니까요~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저도 감사드립니다 ^^
와 한석원t랑 완전똑같이설명하시네요ㄷㄷ 글잘읽었습니다
와~ 그런가요?
요번에도 대세 인강이랑 방향이 맞군요 ^^v
로피탈부터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저도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좋은글 감사합니다. . .!!
이 글에도 와주셨군요 ^^
감사합니다~
정말 명쾌하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고치고, 고치고 또 고치고 하다 보니
글 쓰는데 5시간 걸렸는데 보람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
대단하셔요 ㅎㅎ 이해가 정말 잘되네요! 개념서를 사볼까 하는 욕망이 자꾸 생기네요 ㅋㅋㅋ
감사합니다~
확통 얼른 써야겠네요 ㅎㅎ
어쩜 간지러운 부분을 알아서 딱하니 긁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저도 예전에 간지러웠던 부분이었거든요 ^^
감사합니다!
그럼 시중문제집에 있는 같은것이있는순열을 이용하는 확률 유형은 잘못된건가요??????
방금 수업하다가 설대언론님 질문이 무슨 뜻인지 알았어요!
이따 수업 끝나고 예제랑 같이 설명드릴께요~
같은 것이 있는 순열에 대한 확률 문제는
같은 것들을 다른 것으로 구분하든, 구분하지 않든 답이 같습니다.
예를 들어 1, 1, 2, 3이 하나씩 적힌 네 장의 카드를 임의로 나열할 때
1 두 개가 이웃할 확률을 구한다고 합시다.
각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같기 위해서는
1 두 개를 서로 다른 것으로 구분해야 합니다.
따라서 표본공간의 원소 개수는 4!, 해당 사건의 원소 개수는 3! x 2!,
확률은 (3! x 2!) / 4!이 됩니다.
그리고 1 두 개를 서로 같은 것으로 보면
표본공간의 원소 개수는 4! / 2!, 해당 사건의 원소 개수는 3!,
확률은 3! / (4! / 2!)이 됩니다.
즉, 1 두 개를 서로 다른 것으로 구분했을 때의 확률에서
분모, 분자를 각각 2!로 나누면 1 두 개를 서로 같은 것으로 볼 때의
확률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수학적 확률의 전제 조건에 부합하려면
같은 것들을 다른 것으로 구분해주는 것이 맞지만,
구분하지 않더라도 답은 나온단 얘깁니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