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학습안내] 기출의 흐름은 어떻게 읽어낼까 1편 (친권 관련 법적 판단 요소)
저번 글은 EBS 연계교재에서 출제 요소를 어떻게 뽑아 내는지 1편을 썼습니다. 실전 모의고사나 사설 모의고사와 달리 실제 수능 시험장에서 우리를 괴롭히는 건 '기존 출제 요소'가 아닌 '신규 출제 요소'입니다. 전년도 평가원 시험에서 신규 출제 요소로 출제된 요소를 많은 인강이나 문제집 기본 개념서에 넣어버리는 바람에, 수험생들은 실제 수능 시험장에서 그 해의 새로운 출제 요소를 마주치기 전까지는, 신규 출제 요소를 만난 당혹감을 경험할 기회가 없는 현실이죠. 저번 글에서는 그러한 신규 출제 요소를 미리 잡아내는 방법 중 하나를 소개한 것입니다.
오늘 소개할 내용은 기존 출제 요소가 어떻게 활용되고 심화되어 발전될 수 있는지를 안내하겠습니다.
'친족상속관계 법적 판단 문항'에서 출제되는 법적 판단 요소 중 하나인 '친권 관련 법적 판단 요소'를 예시로 들어 보여드리겠습니다.
2020.9평
ㄴ선택지에서 친권 관련 법적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18세가 된 미성년자 B가 성년의제되면 민법상 성년이 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친권이 소멸된다는 판단을 요구하는 선택지 입니다.
해당 선택지에서 출제 요소 발전 가능성으로 '성년의제'와 '친권의 소멸'을 뽑아내었습니다. (아직까지도 '성년의제'는 더 이상 출제 요소로 발전되지 않았기에, 이 글에서는 '친권의 소멸'만 설명하겠습니다.)
친권의 소멸은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1. 절대적 소멸] & [2. 상대적 소멸] |
---|
[1. 절대적 소멸]에는 [자가 사망한 때 / 자가 성년자가 된 때 / 자가 혼인한 때]가 있습니다. |
[2. 상대적 소멸]에는 [친권자의 사망 / 자가 타인의 양자가 되었을 때 / 부모가 이혼한 후 일방만이 친권자가 된 때 / 친권자가 친권 상실을 선고받은 때]가 있습니다. |
(이외에도 더 있지만, 정치와법 교육과정 상 출제될 수 있는 선에서 추려낸 것입니다.)
이 중에서 2020.9평에서는 [1. 절대적 소멸] 중에서도 [자가 혼인한 때]를 출제한 겁니다.
이를 통해, 가장 우선적으로 [1. 절대적 소멸] 중에서 [자가 혼인한 때]와 동위개념 관계에 있는 [자가 사망한 때]나 [자가 성년자가 된 때]도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고 뽑아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 순위로 [1. 절대적 소멸]이 아닌, 이와 동위개념 관계에 있는 [2. 상대적 소멸]이 출제될 가능성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금까지 평가원은 '연령을 기준으로 법적 판단'을 요구하는 출제 요소를 좋아했기 때문에,
출제 요소 간 결합 가능성을 생각하면 [1. 절대적 소멸] 중에서도 [자가 성년자가 된 때]가 출제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잡아냅니다.
시간이 흘러 작년 6평이 됩니다.
2023.6평
제시문에서 연령을 제시한 뒤, 5번 선택지에서 그 연령을 기준으로 [1. 절대적 소멸] 중 [자가 성년자가 된 때]를 판단하도록 출제되었습니다.
이제 이 출제요소가 [1. 절대적 소멸] 내에서 발전될 가능성은 [자가 사망한 때]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평가원에서 '권리능력'을 소재로 마지막으로 출제한 게 2016.6평 '법률행위 법적 판단 문항'이고, 정치와법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권리능력'은 비중이 거의 없는 정도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가 사망한 때]가 출제될 가능성 보다는
[2. 상대적 소멸]로 넘어가서 출제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뽑아냈습니다.
이후 바로 다음 평가원 시험이었던 작년 9평을 보면 정말 소름 돋습니다.
2023.9평
4번 선택지에서 '친권 관련 법적 판단 요소'가 출제되었습니다. 선택지에서는 2023.6평을 그대로 이어받아 [1. 절대적 소멸] 중에서 [자가 성년자]인 경우를 출제하였습니다.
그.런.데.
소름돋는 포인트는 제시문에 제시된 법적 사실입니다. B가 D를 양자로 입양하였다는 부분!!
이 문항에서는 양자인 B가 성년자이지만, 다음 시험에서는 [2. 상대적 소멸] 중에서 [자가 타인의 양자가 되었을 때]를 출제할 가능성을 엄청나게 강화시켜줍니다!!
그렇게 출제되면, 이 문항에서 "양부모에게 친권이 있냐"를 물어본 것과 달리, "친부모에게 친권이 유지되냐"를 물어보겠죠.
결국 2023.6평에서 뽑아낸대로 [2. 상대적 소멸]로 넘어가서 출제될 가능성은 더욱 강력해집니다.
2024.6평
아쉽게도 올해 6평 선택지에서 '친권 관련 법적 판단 요소'는 2023.6평을 그대로 이어받아 출제되었습니다.
선택지에서 물어보지는 않았지만, 제시문에 제시된 법적 상황은 2023.9평을 그대로 이어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문항을 통해 [2. 상대적 소멸] 중에서 [자가 타인의 양자가 되었을 때]가 출제될 가능성은 더 강화됩니다!!!
그 이유는, 다른 출제 요소 간 결합 가능성 덕분입니다!!
입양의 유형을 제시하지 않고 '양자로 입양'되었다고만 상황을 제시하였습니다. 선택지에서는 물어보지 않았지만, 이 부분은 '입양의 유형 법적 추론 요소'로 출제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입양의 유형 법적 추론 요소'는 |
---|
제시문 상황에서 'case 발생 요소'를 통해 제시된 입양이 '일반입양'일수도 있고 '친양자입양'일수도 있는 것으로 케이스를 벌려 둔 뒤, 제시문의 다른 부분이나 선택지의 조건절에서 제시된 'case 확정 요소'를 통해 앞에서 벌려둔 케이스 중 하나로 확정하는 걸 요구하는 추론 요소입니다. |
(참고로, '수렴적 사고 요소', '법적 추론 요소', '법적 판단 요소', '자료 분석 요소'의 출제 구조와 풀이 구조는 정법정야 수능대비 정치와법 커리큘럼 중 기출분석서에서 모두 정리하였습니다.)
'입양의 유헝 법적 추론 요소'는 2018.수능 제시문 상황에서 뽑아내었던 출제가능요소 인데, 이번 문항을 통해
입양의 유형을 먼저 법적 추론하기를 요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친권 관련 법적 판단 요소'와 결합하여
[2. 상대적 소멸] 중에서 [자가 타인의 양자가 되었을 때]를 물어볼 가능성으로
출제 구조를 더 구체화해서 뽑아낼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입양의 유형 법적 추론 요소'에서 입양의 유형을 일반양자로 확정 시킨 뒤,
일반양자로 입양되면 친생부모에게 친권이 유지되는 지 물어볼 수 있겠죠.
이렇게 출제되면, 수험생들은 일반양자 입양 시 종래의 친족관계와 상속관계가 유지된다는 점에서 "친생부모에게 친권이 유지된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크지만,
친권은 양부모에게 넘어간다는 게 옳은 법적 판단입니다.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이렇기 출제됐을 때 절대 틀리면 안됩니다~^^
2024 EBS 연계 결합 가능성
2020.9평 문항을 통해 뽑아낸 출제 가능성 중에서
지금까지 집중적으로 설명한 [2. 상대적 소멸] 중 [자가 타인의 양자가 되었을 때]가 다음 시험에 나올 차례로 가장 유력한 것으로 잡아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외에도, 2020.9평 문항에서 뽑아낸 것 중
- '성년의제' 관련 출제 가능성: 올해 수특 본문에서 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 [2. 상대적 소멸] 중 [친권 상실 선고] 관련 출제 가능성: 올해 수특 본문에서 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년의제'와 '친권 상실 선고'도 출제될 가능성이 크다고 잡아낼 수 있겠습니다.
(당장 9평에서 바로 발전되어 출제될지, 아니면 이번 수능에서 발전되어 출제될지, 아니면 내년에 출제될지, 혹은 더이상 이 출제요소가 발전되지 않을지는 아무도 모르는 것이긴 합니다ㅎㅎ)
미출제 요소의 출제 가능성 & 기존 출제 요소의 발전 가능성을 어떻게 뽑아 내는지를 저번글에 이어 오늘도 소개했습니다.
저번글은 EBS 연계 교재를 통해 뽑아내는 방법, 오늘은 기출의 흐름을 통해 뽑아내는 방법, 다음글은 시사이슈 관련성을 통해 뽑아내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출제 요소 뽑아 내는 방법 소개' 시리즈는 이렇게 3가지 큰 축으로 각각 한 편 씩 번갈아가며 올리겠습니다.
다음글까지 해서 1편을 다 올리고, 그 다음글부터는 다시 EBS 연계교재를 통해 뽑아내는 방법 2편부터 올릴 생각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메추 좀여 0
고3맨임 엄카 ㄱㄱ
-
2분 뒤 발표ㄱㄱ
-
게이 구하는 칸이 따로 있음
-
개꿀띠
-
6개 맞추고 12개 틀림 하근데 이거중에 계산실수도 있어서 걍 첨부터 풀줄 알던...
-
마다. 2
약속의 6시 조발이 남아 있다.
-
서울대 떴음? 2
-
현역 수능 43465로 천안에 공대 다니다가 독재에서 4개월 공부해서 인하대 공대...
-
하루라도 조발 가능성 없나? 2시인가 3시에 봤을 때는 다른 배너 떠 있었는데 5시...
-
갑자기 생각나서 170630 다시 풀어봤는데 어려움..
-
영웅이랑 호걸이가 이미 다 내고 있어서 그렇담서요
-
바로 전장 버억버억 으흐흐흐흐
-
약속의 5시 조발 23시간 59분 전✊️✊️✊️✊️✊️ 0
내일은 해주겠지
-
더이상 의대합격 인증을 못본체 좌시할순 없을거 같다. 20
수능이 끝나고 무력감과 좌절감이 나를 짓눌러 더이상 수능을 치기 힘들것 같은 상황을...
-
Fuxk'em Fuxk'em 쉰다네요
-
얼굴 상타치라며 0
같은 얼굴인데 ㅅㅌㅊ였다 ㅎㅌㅊ 엿다 ㅈㄹ났네
-
이거 좀 짜증나는데 난 아니 그렇게할거면 수능을 왜본거지 걍 의대정시 뽑을때...
-
✊✊✊✊
-
부산대 거의 최하위공대 2학년으로 복학과 부산대 경영학과 새로 입학 중에 뭐가 더...
-
커뮤질을못하겠네 낙지 보러 가라는 건가
-
수1 31p 4번 문제에 넓이 조건은 빼도 될듯 한데
-
둘다 D반이나 I반 될 거 같은데 대치시대+학사랑 목동시대 통학 중에 뭐가 더 나을까요
-
ㄷㄱㅈㄷㄱㅈ
-
난 너를 보면~ 1
T라 미숙해~
-
오르비 일 안하냐
-
후기 13
아니 20km 왤케 빨라요????
-
1년뒤면 그래도 25수능 괜찮았다고 할거같고 2년뒤면 쉬웠다고 할거같음..
-
몇점인가요?
-
선배라고 후배보다 나이많은거 아니잖아 특히 후배가 훨씬 나이많은경우도 많을텐데...
-
서버 왜이래 6
나만 느린가
-
ㅇ.
-
사진 쭉 보는대 8
존나못생겼네 보정 ㅈㄴ때린 졸사로 ㅇㅈ을해야되나
-
내글만 왤케 댓글없음?? 토익학원에 이상한 아줌마있다니깐???
-
경고 5번짼데 아직도 ㅈㄴ 불성실하네 카톡도 읽씹하고.. 기회를 줘도 못잡고...
-
특수대학교들 빼고
-
가천대 출신이긴 한데요 잠시만요 제 말을 들어 보십쇼 제 학과는 카카오와 계약한...
-
재수 시작 시기 1
제먹 그대로 재수 보통 언제 시작하나요? 2월 말~3월애 시작 하신 분 계신가요?
-
ㅋㅋㅋㅋㅋㅋ 존나 웃기네
-
올해 물리 48 화학 50 생명 45 지구 44 내년 예상 물리 50 화학...
-
저는 반수생이구요 원래 다니던 학교로 25-1 1차 국가장학금을 신청햇는데 떨어짐...
-
지금부터 기다리진 마라 10
새벽에 할게
-
ㄱㄱ
-
지금 합격자도 조회안되네..
-
근데 9번째 댓이 할거임
-
일단 필요한 곳에 좀 쓰고 남으면 올려봐야지
-
노예가 생겼어요
-
못생겨도 인증해도되냐 15
무플이면 씨발 존나슬픈데
사랑합니다
❣️
착오가 생길 수 있을 것 같아 추가로 안내합니당.
글에서 '성년의제'를 소재로 2020.9평 이후 더 이상 출제되지 않았다고 언급한 것은,
이 글에서 중점으로 다룬 '친족상속관계 법적 판단 문항' 주제에서 출제되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성년의제'를 소재로는 이후 2021.6평 '법률행위 법적 판단 문항' 주제에서 출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