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덕) 수2 자작 ㄱㄴㄷ 문제
<나중에 다시 해 보겠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냥 일반적인 내용입니다. 문제 특징 때문 14번에 넣기에는 애매하긴 하네요.
반례 같은 거 꼼꼼하게 따져 보세요!
최초로 맞게 풀고 설명까지 제대로 하시는 분께 1000XDK 드리겠습니다! (이미 아시는 분들 제외)
(주관적) 난이도 : 3.5/10 (였는데 헷갈리는 건 저도 인정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아마 실전에서는 이렇게 해서 ㄱㄴㄷ 하지 않았을까...
으음... ㄴ이 문제인 걸까요... g(alpha)가 0이 아니라면 g(alpha)는 양수이거나 음수인데...
f(x)가 극값이려면 애초에 g(x)의 부호 변화가 생겨야 하는데... g(alpha)가 0이 아니라면 x = alpha에서 부호변화가 생길 수 없으니 극값도 없다고 판단한 거였는데... 뭐가 문제인 걸까요.
그리고 ㄷ에 제시하신 저 함수는 만족 안 하는 걸로 보이네요
그러면 답이 ㄱ ㄷ인 건가요? ㄴ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 건지 잘 이해가 안 되네요...
근데 ㄴ에 저 집합기호는 교집합 기호 아닌가요...?
그러면 주어진 범위는 공집합이 되는데요...
아 뭐야 잘못 입력했어요 ㅠㅠ
ㄱ,ㄷ인가요?
아 ㄷ이네요ㅜㅜ
연속이 미분가능성을 보장하지는 않으니까요..?
g(x)가 존재한다는 건 미분가능하다는 의미긴 해요
다만 미분계수 정의가 극한으로 정의돼 있기 때문에 g(x)의 '극한값'만 존재하고 함숫값이 이와 달라도 g(x)가 미분가능한 함수의 도함수가 될 수 있어요
도함수는 한 점에서만 불연속일수는 없지 않나요?
그리고 g(x)가 어떤 함수인지 알기 전까지는 g(x)의 존재가 g(x)의 실수 전체집합에서의 존재를 보장하지는 않지 않을까요? 예를 들면 알고보니
g(x)가 무리함수인 경우가 있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도함수는 몇 개의 점이든 불연속일 수 있으며, 극한값만 존재하면 원래 함수는 미분가능합니다. 이것은 논술과 임용고시에서 출제되는 소재라고 합니다.
f(x)가 실수 전체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인데 모든 실수 x에 대해서 저 식을 만족시키는 g(x)의 정의역이 모든 실수가 아니면 모순이지 않나요?
제가 든 무리함수 예시는 오류가 맞네요..
다만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도함수는 극한값이 존재하는 어떤 점에서 함수값만 그 점에서 다를 수는 없다는 거예요
아 그렇네요 도함수가 그 점에서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갖고 생각하다가 잘못 생각했나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