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onr · 897987 · 21/05/28 13:45 · MS 2019

    어라 어디서 본 글이네요
  • 기대 T · 416016 · 21/05/28 13:45 · MS 2012

    기붕탓이니까 지나가주세요 ^_^

  • EPL 알리미 [토사장] · 876184 · 21/05/28 13:49 · MS 2019

    선생님 도움이.... 챔결 토토 어떠십니까

    https://orbi.kr/00037756034

  • 기대 T · 416016 · 21/05/28 13:50 · MS 2012

    현황판 있으면 생각해볼게요~

  • EPL 알리미 [토사장] · 876184 · 21/05/28 13:51 · MS 2019

    맨 시티 1.34 첼시 3.95 입니다.

  • 팝콘 먹는 오리비 · 834955 · 21/05/28 14:04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BLΛƆKPIИK · 883147 · 21/05/28 16:33 · MS 2019

    ~~이므로 가정에모순이란게
    가정을 만족하는게 존재하지않는다 의 뜻으로 볼순없나요?

    그래서 전저렇게써도된다생각햇엇는디..

  • BLΛƆKPIИK · 883147 · 21/05/28 16:34 · MS 2019

    쌤얘기는 99%는 가정에 모순이므로
    보다는
    그냥 모순이므로 이렇게써야한단거죵??

  • 기대 T · 416016 · 21/05/29 00:12 · MS 2012

    '가정이 틀렸다는걸 보여야하는 증명구조'과 '모순인 상황을 보여내야하는 증명구조'를 헷갈리는 데에서 나오는 현상입니다 ㅎㅎ

    99%의 귀류법 문제는 가정 부분에서 모순이 등장하지 않고 그 이외의 부분 (ex. 이 문제에선 tan30'가 유리수여야 하는데 실제론 무리수라서 모순이 나온 부분) 에서 모순이 나오거든요.

  • 기대 T · 416016 · 21/05/29 00:10 · MS 2012 (수정됨)

    모순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매우 폭넓게 인정해줄 경우엔 '그나마 이해해줄 수 있는 범주'이기 때문에 X 대신 △를 쓴 것.
    이라 한 부분이 그 말을 한 거에요~

    추천되진 않습니다.

  • BLΛƆKPIИK · 883147 · 21/05/29 00:35 · MS 2019

    아하 넵 무슨얘긴지 이해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기대 T · 416016 · 21/05/29 00:49 · MS 2012

    굿굿 ㅎㅎㅎ

  • happy · 745267 · 21/05/28 16:47 · MS 2017

  • 펭귄사람 · 848765 · 21/05/28 22:42 · MS 2018

    예전 교토대 본고사 문제 살짝 바꿔놓은 문제군요 ㅎㅎ 중요한 내용이죠

  • 촉수 · 1062090 · 21/05/29 10:34 · MS 2021

    유클리드 호제법을 쓰려면 어떻게 서술해야 할까요?

  • 기대 T · 416016 · 21/05/29 10:47 · MS 2012

    제시문으로 제시돼있지 않는 이상 쓸 일이 없을 겁니다~

  • 촉수 · 1062090 · 21/07/10 10:33 · MS 2021

    어디가 모순인지 정확히 명시하라는 건가요? 모든 거짓된 진술은 공리계와 모순입니다.

  • 촉수 · 1062090 · 21/07/10 10:38 · MS 2021 (수정됨)

    제 입장에서 틀린 건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선생님께서는 이걸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어떤 과정을 통하여 모순이 등장했고, 그 이유는 부정된 결론 때문이다. 따라서 원래 결론이 맞다. (O)
    ... 결론의 부정을 가정할 때, 모순되는 두 명제를 명시했으며, 배중률에 의해 결론이 참이다.


    부정된 결론이 모순이다. (△)
    ... 결론의 부정은 거짓이다(어떤 참인 진술과 모순). 따라서, 결론이 참이다.

    여기서, 모순인 부분이 정확히 표시된 (O)를 선택하라는 것 같습니다.

  • 촉수 · 1062090 · 21/07/10 10:45 · MS 2021 (수정됨)

    첫 번째 사진을 보면, sin 1과 cos 1가 유리수라는 가정은, tan 30가 유리수라는 진술을 함축하며, tan 30 = 1 / sqrt(3)이라는 참인 진술이 모순됩니다. (이는 가정이 틀렸다는 것과 같습니다)

  • 기대 T · 416016 · 21/07/10 15:03 · MS 2012

    네, 공리계에 의해 모순인 것이무로 ‘가정’에 의해 모순인 것과 착각한 듯한 뉘앙스로 쓰면 좋지 않다는 말이었습니다.
    공리계와 모순이 뜬 것은 크게 세가지 이유겠죠
    1. 공리계가 잘못됐다
    2. 잘못된 방식으로 풀었다.
    3. 잘못된 무언가를 가정했다
    1.은 가능성 없으므로, 2가 완벽하다면 3의 케이스라 가정이 잘못됐다 고 구조화되는 것이 귀류법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