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x)+g(x-c)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1에서 비교하면 일단 f(x)의 좌극한값이 '존재'하기 위해서 분모가->0 일때 분자도->0 그래서 a=3. 해서 구해보면 f(x) 좌극한이 2고 우극한이 -2가 나오는데 g(x-c) 라는 함수가 만약 1에서의 좌우극한이 같다면 f(x)+g(x-c) 의 좌우극한이 같을수가 없습니다 하나는 f(x)가 +2고 하나는 -2니까요. 그래서 연속이기 위해서는 g(x-c)에서 1+0으로 갈때와 1-0으로 갈때 식이 달라져야만 함. 값이 달라져야 하므로. 즉 발문에서 g(x)가 정의역 -2 기준으로 식이 갈리는데 이걸 c만큼 평행이동 이동했을때 그 갈리는 기준이 1이 되어야 하므로 -2+c=1. 따라서 c=3. 이제 g(x-c)를 구한 후에 1의 좌우극한을 구하면 좌극한 8 우극한 16-2b. f(x)+g(x-c) 의 좌우극한을 구하면 더하면 되니까 좌극한 10 우극한 14-2b. 연속이므로 두개는 같으니까 b=2. 따라서 구하는 값은 9+9+4 = 22. -2에서도 비교하면 아마 같게 나오겠죠.. 전 실전에서 이렇게 풀었어요
f(x)+g(x-c)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1에서 비교하면 일단 f(x)의 좌극한값이 '존재'하기 위해서 분모가->0 일때 분자도->0 그래서 a=3. 해서 구해보면 f(x) 좌극한이 2고 우극한이 -2가 나오는데 g(x-c) 라는 함수가 만약 1에서의 좌우극한이 같다면 f(x)+g(x-c) 의 좌우극한이 같을수가 없습니다 하나는 f(x)가 +2고 하나는 -2니까요. 그래서 연속이기 위해서는 g(x-c)에서 1+0으로 갈때와 1-0으로 갈때 식이 달라져야만 함. 값이 달라져야 하므로. 즉 발문에서 g(x)가 정의역 -2 기준으로 식이 갈리는데 이걸 c만큼 평행이동 이동했을때 그 갈리는 기준이 1이 되어야 하므로 -2+c=1. 따라서 c=3. 이제 g(x-c)를 구한 후에 1의 좌우극한을 구하면 좌극한 8 우극한 16-2b. f(x)+g(x-c) 의 좌우극한을 구하면 더하면 되니까 좌극한 10 우극한 14-2b. 연속이므로 두개는 같으니까 b=2. 따라서 구하는 값은 9+9+4 = 22. -2에서도 비교하면 아마 같게 나오겠죠.. 전 실전에서 이렇게 풀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