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나라 [385592] · MS 2011 · 쪽지

2012-10-11 23:06:14
조회수 342

300제 언어 119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faitcalc.orbi.kr/0003116503

1.인아를 총애하는 한림으로 인해 사씨와 교씨의 갈등이 더욱 심화듀ㅣ고있군.
교씨가 그냥 혼자 사씨미워하는것도 갈등이라고 하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ithilien · 404157 · 12/10/11 23:08 · MS 2012

    시에서 보면 내적갈등이라고 나오죠? 기출을 고면 화자 혼자 고민하는것도 갈등이라 합니다.여기서보면 갈등이라는것이 고민,화남,분노,즉 어떤 대상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 유발되는것들로 해석하면 됩니다. 교씨는 사씨를 보고 쫓아내고자 하는 깊은빡침을 느끼고 있으니 갈등이라 할 수 있지요.

  • 천사나라 · 385592 · 12/10/11 23:49 · MS 2011

    감사합니당 이해했어요 .ㅎㅎㅎㅎ

  • 죽을공부한다 · 342438 · 12/10/11 23:23 · MS 2017

    글쓴분이 질문하는건 사씨와 교씨의 갈등이니까 외적갈등 이야기인거같구요

    저도 비슷한 내용 (홍길동전에서 계모가 홍길동을 음모에 빠뜨리는걸 대성모의고사에서 인물간의 갈등양상 으로 나와있다는게 맞다는 선지) 질문해서 인강선생님께 답변받은 내용이에요


    흠...인물간의 갈등을 이해하시려면

    일단 소설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소설의 본질은 자아(주로 주인공)과 세계(여기서는 반동 인물이군요)의 대결입니다.

    이때 주인공이 대결 의지가 없더라도 세계가 주인공에게 대결을 하려하면

    그때는 인물간 갈등을 드러내게 됩니다.

    보통 고전 소설에서 계모가 전처 자식을 구박하는 것을 보고 가정 내 갈등이라 하죠?

    그게 이 경우와 비슷한 경우입니다.

    우리는 흔히 갈등을 둘이 싸우는 것으로만 이해하는데,

    그 싸움은 갈등의 일부라는 점 잊지 마세요~~~^^

    제 설명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 천사나라 · 385592 · 12/10/11 23:49 · MS 2011

    감사합니다 ^.^

  • 한한가자 · 335754 · 12/10/11 23:54 · MS 2010

    그냥 갈등 자체가 굉장히 폭넓은 개념이예요. 불만족스러운 상황=갈등

    성권t 문학개념어 보시면 만족스럽지 않으면 다 갈등이라고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