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가함수와 증가상태의 개념에 대하여.. 기본적인 질문드립니다.
반년을 놀다가 다시 공부를 잡으니 쉽지않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평가원 #~#
-
나랑 진짜 사이 안좋던 약간 자격지심 심한 중학교 동창 애가 잇는데 대뜸 나한테...
-
3차 끝 0
4차 ㄱ? 말?
-
분탕이 될래~
-
진짜로 X리나처럼 저격글 올라올까봐 쫄림
-
절대싫어하는거아님 ..
-
대체복무도 안되고 의치한수에 비교해서 좋은 것도 없어보이는데 왜 이리 인기가 많은지...
-
수능 23433 나왔는데 재수해서 연세대 가능한가요? 8
백분위 91 84 4 83 84입니다
-
한쪽 원자에서만 형식적으로 전자 제공해서 결합하고 싶다~
-
1등급 목표입니다..! 지금까지 수학 인강을 한번도 안들어봐서 머가 좋을지 잘...
-
우리모두매일26수능22번삼각함수기원글을써서오르비를정상화해요
-
비현실적인 외모를 자랑하라
-
잠 4
잠
-
햄버거 치킨 떡볶이 이런 인스턴트 식품들은 오히려 약간의 싸구려틱함이 있어야 한다고...
-
건설적인 피드백 ㄱㄱ
-
이거 프사할 때 얘 이름도 몰랏음,,
-
재수생이고 작수 20.22 미적28.30 틀렸습니다 지금 김현우쌤 라이브 듣고...
-
평가원은어때 화1 조진건 진짜 패고싶은데
-
민지단 집합 5
뜸하긴 하지만..;;;
-
ㅈㄱㄴ
-
유튜브보다 오르비가 더 재밌음 이거 중독성 뭐임진짜?
-
https://orbi.kr/00071894899 애니프사 없는 클린한 오르비 활동...
-
오늘의 술 끝 2
6시간 마셨으니 충분
-
반응 없는 글은 삭제하시면 됩니다
-
디시콘 프사의 붐은 오는가..
-
걍 친목은 하되 남 글 가서까지 좆목하거나 제목으로 닉언만 ㄴㄴ합시다
-
범위를 좀 넓게 잡는다고 하면
-
수학적 직관 좋은 사람은 진짜 금방 하겠구나 도형 베이스나 직관력 엄청 좋은 사람은...
-
진짜모름
-
애니프사들 집합 !! 14
얼마나 있는지 궁금해요
-
재수생인데 0
재수선행반 다니고 있고 1월동안 한 게 수학밖에 없음... 원래 골고루 하려다가...
-
사람들이 너무 착하고 재밌어서 나도 하게됨…. 끊어내야하는데 기회가 안보인다
-
야식 떡볶이랑 햄버거중에 뭐 먹을까요
-
곧 하나 살껀데 아니 2개
-
나몰빼미가얼마나귀여운데
-
ㅈㄱㄴ
-
응응
-
ㅇㅇ
-
똥글만써서 10명 넘었는데 이제 맞팔추 구해야함?
-
애니프사 고로시 4
늘있는 wwe
-
그리고 고수 친구한테 재료 다 뺏겨서 접음 에휴이
-
애니프사 패는거 아픔
-
댓글 치트키 4
20렙을 이상을 찍고 Team애니프사단에 합류한다
-
뉴비댓글좀달아주세요 13
외로워요
-
물리하면 4
안 씻는다는 밈이 왜 퍼진거지
멍한 상태에서 쓰려니까 말이 두서가 없어지고 괜히 어려워지는게, 수학 공부만 하다 보니 브로카 영역과 베로니케 영역이 퇴화하는 기분입니다. -_-
지금은 교과과정이 바뀌어서 정의가 바뀌었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제가 기억하는 한에서 고등학교 때의 증가라는 개념은 소위 순증가(strict increasement)라고 부르는 개념으로, f(x)가 주어진 범위 내에서 증가함수라는 것은 그 범위 내의 임의의 x < y 에 대하여 f(x) < f(y) 를 만족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물론 고교과정까지의 수리영역을 제외한 실제 수학 분야에서 증가함수라는 개념은 조금 더 약하고 훨씬 더 쓸모있는 방식으로 정의되는데, 구체적으로 임의의 x ≤ y 에 대하여 항상 f(x) ≤ f(y) 가 성립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지금까지의 모든 이야기는 감소의 개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 용어들을 이용하면, 구간 위에서 정의된 어떤 함수가 동시에 증가함수이고 감소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이 함수가 상수함수가 되는 것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어쨋든 지금부터 나오는 모든 설명에서는 증가함수라는 용어를 후자의 정의로 따르고, 순증가라는 용어를 따로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증가 혹은 순증가라는 개념이 함수의 미분가능성이나 연속성과 무관하게 정의됨에 주목하셔야 합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미분가능성 없이도 얼마든지 증가성에 대하여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지요. 따라서 증가성을 미분가능성과 결부시킬 때에는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1.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개구간에서 정의되고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증가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은 f'(x) ≥ 0 인 것입니다.
따라서, 같은 가정 하에서 만약 f(x)가 순증가함수라면 f'(x) ≥ 0 이 성립하지요. (하지만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습니다. 상수함수가 대표적인 반례입니다.)
2. 함수 f(x)가 x = a 에서 증가상태라는 것은, 충분히 작은 임의의 양수 h에 대하여 항상 f(a-h) ≤ f(a) ≤ f(a+h) 인 것으로 정의되며, 마찬가지로 x = a 에서 순증가상태라는 것은 부등호를 ≤ 에서 < 로 바꾼 것으로 정의합니다. (이 역시 고등학교 범위에서는 순증가상태를 증가상태로 부르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처럼 증가상태나 감소상태에 대한 개념 역시 기본적으로는 미분가능성, 심지어는 연속성과도 무관하게 정의됩니다. 따라서 역시 미분계수를 이용하여 증가상태를 따질 때에는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물론, 두 개념 사이에 관계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함수 f(x)가 x = a 에서 미분가능하고 증가상태에 놓여있으면, f'(a) ≥ 0 이 성립합니다. 물론 그 역은 거짓이지만, 그 부분적인 역은 다음과 같이 성립합니다: f'(a) > 0 이라면 f(x)는 x = a 에서 순증가상태입니다.
따라서 f'(x) > 0 인 지점은 항상 순증가하는 지점이지만, f'(x) = 0 이어도 얼마든지 그 지점에서 순증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f'(x) = 0 인 지점은 다른 방법을 통하여 직접 증가상태인지 감소상태인지를 판별하여야 합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미분계수는 미분가능한 함수의 증감상태를 판별하는 데 큰 도움을 주지만, 그 자체로 정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외 상황에서는 항상 초심으로 돌아가 정의대로 따져봐야 합니다.
3. 정의에 비추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증가함수는 모든 점에서 증가상태이며, 순증가함수는 모든 점에서 순증가상태입니다. 따라서 f(x) = x^3 이 순증가함수라는 것을 아는 이상, f(x)는 [-1, 1]에서 역시 순증가상태에 놓입니다.
이렇게 길고 자세하게 답변해주시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고교수학의 정의에 입각해서 사고하며 미분을 적용하라는 말씀이신것 같은데요..
다만 제 이해력이 부족하여, 이해한 것이 맞나 몇가지 추가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요.
1.즉 고교수학에서 증가 함수는 순증가함수를 뜻하기에 상수함수는 증가함수가 아니지만 실제 수학분야에서는 상수함수 또한 증가함수로 정의된다는 것인가요?
2.그렇다면 실수전체에서 정의된 함수 f(x)=x (x>1 또는 x
또한 (-2=
수학이 상당하신데.. 이런 초보적인 질문드려서 송구스럽네요. 감사합니다.
제가 새벽에 졸린 상태에서 질문을 하느라 미쳐 공지도 확인하지 않고 학습태그에 질문을 올린 것 같은데, 삭제하셨나 했더니 태그를 옮겨 주셨네요.
운영자님께 감사드리고, 다음부턴 공지 준수하여 이런 부주의가 없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