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Roman. [69422] · MS 2004 · 쪽지

2019-09-06 16:04:21
조회수 879

삶을 대하는 자세

게시글 주소: https://faitcalc.orbi.kr/00024487020

모두가 힘들다 한다.

믿기 어렵겠지만 경제는 좋았던 적이 없다.


90년대 그 호황기에도 장사 잘 된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

자신의 최대치를 준거로 삼는 한 영원히 고통이다.


당신이 살고 싶은 삶을 사는가.

대부분 그렇지 못하다.


"사실 나의 욕망은 엄마의 욕망이었다." - 라캉


더 문제는

살고 싶은 삶이 뭔지 모른다.


그래서 예측이 거세된 삶에서의 고통은 특별히 다가온다.

내가 원하는 삶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못 본다.

그 결과,


삶의 통증 대부분은 

자기만 힘든 줄 알아서 자기가 키운다. 


그러니 우리는


하고 싶은대로 살아야 한다. 내X대로 살아야 한다. 

이만으로 부족하다. 여기에 스타일을 입혀야 한다.


참지 마라.

참을 거면, 항상 고민해야 한다.


고3때 참고 공부하는 건 남는 장사이니 괜찮다.

군대에서 탈영하면 남은 생이 날아가니 참자.


이런 큼직한 것 외에, 예컨대

이 옷을 살 것인가

저 비싼 걸 먹어볼 것인가

X팔려도 저 이성에게 말 걸 것인가

이따위 것들은

대개 하는 것이 남을 수 있다.


이렇게 묻자.


하고 싶은 걸 참으면, 이 고통은 고스란히 보상받을 수 있는가. 

이게 준거(標準)다.


왜냐하면, 그 순간의 고유한 기쁨은, 이 순간이 지나면 같은 형태와 정도로, 

다시는 돌아올 수는 없기 때문이다.


누릴 수 있을 때 그 맥시멈을 누려야 한다. 

불안한 미래를 위해 저축하며 계속해서 불안해하지 말자. 

근검절약에 의한 부의 축적을 신의 축복으로 환산해낸 칼뱅 자본주의는 

지양은 아니더라도

"적절"해야 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