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핸섬 [371833] · 쪽지

2011-04-25 12:54:49
조회수 1,284

생물I간단한질문 낼생물셤입니다 꼭 답변좀 ㅜ

게시글 주소: https://faitcalc.orbi.kr/0001141317

생물I에서요
혈액의 기능으로
방어작용으로해서
혈액응고 배우잖아요
그때
혈액응고를방지할때는

저온처리,
칼슘제거(시트르산,옥살산나트륨)
유리막대로젓는다
헤파린 히루딘첨가한다 이잖아요.

고온처리는 안되나요?
혈액응고방지법 옳지않은건은 하고?
열을가한다 까지해서 5가지로 나오는데 답지가 없어서 확인불가..




소화될때요

고분자->저분자
일때
(물이들어감)
고분자 -------> 저분자
↑가수분해효소 가 소화의 전반적원리라고나오는데요


저분자에서고분자로간다면

(물이나온다)
저분자 -------> 고분자
↑탈수분해효소

연두색부분 맞나요?

그리고 탈수와 가수의 정의가 뭔가요?

가수는 물이들어가는것.
탈수는 물이나오는것 맞나요?


그리고 Rh응집원을 토끼한테 주입하면 토끼의혈액에는 Rh응집소만 생기나요? Rh응집원은 존재한다고 할수 없나요?




두서없이 막 날려서 썼는데요.. 물음표 붙은거만 답변해주시면됩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UUCM · 311298 · 11/04/25 13:40 · MS 2017

    저온처리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이라 가능하지만 고온처리는 효소의 단백질 구조를 변성시키기 때문에 원래 온도로 되돌려도 사용을 못합니다. 혈액응고의 목적이 수혈이나 헌혈 등인 것을 고려해보면 혈액 응고 방지 처리를 하고 난 후에 다시 원상복귀 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이죠...

  • 연님 · 337577 · 11/04/25 13:58 · MS 2010

    1. UUCM 님이 잘 말씀해주셨고요. 덧붙이자면 혈액응고의 목적을 체내에서의 작용이 아닌 실생활에서의 이용의 목적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네요.

    2. 고분자 저분자관련 이야기는 알고 계신 것 정도만 알고 있으셔도 생물1에선 문제될게 없을것 같습니다. 다만 화학이면 다르겠지요.

    3. 토끼에게 Rh응집원을 주입하면 Rh응집원이 토끼에겐 항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항원에 대항할 항체인 Rh응집소를 만들게 됩니다. 결국 항원-항체반응이 일어나 Rh응집원은 존재하지 않게되지요.
    이와 관련된 내용은 면역혈청의 원리에 있습니다.

  • 부처핸섬 · 371833 · 11/04/26 05:33

    ㄴ 캄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