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요배-서청입도(西靑入島)>




<강요배-겁간(劫奸)>



당시 친정집에는 군인 3, 4명이 임시 주둔했는데 그 중에서 ‘최 상사’라는 놈이 동생을 죽였습니다. 동생은 참 예뻤지요. 그놈들은 처음에 처녀들을 몇 명 집합시켰다가 동생이 제일 곱다고 생각했는지 덮쳤습니다. 그러나 맘대로 되지 않자 총을 쏜 겁니다. 동생은 배꼽 부근에 총을 맞아 창자가 다 나올 정도로 처참한 모습으로 숨졌습니다.

- 김종민, 「4ㆍ3 이후 50년」, 제주4ㆍ3연구(역사문제연구소ㆍ역사학연구소ㆍ제주4ㆍ3연구소ㆍ한국역사연구회 편), 역사비평사, 1999, p32~33



처음엔 ‘말 태우기’와 ‘뺨 때리기’가 유명했다. 토벌대는 주민들을 집결시킨 가운데 시아버지를 엎드리게 하고 며느리를 그 위에 태워 빙빙 돌게 했다. 또 할아버지와 손자를 마주 세워놓고 서로 뺨을 때리도록 했다. 머뭇거리거나 살살 때리면 곧 무자비한 구타가 가해졌다. 심지어는 총살에 앞서 총살자 가족들을 앞에 세워놓고 자기 부모형제가 총에 맞아 쓰러질 때 만세를 부르고 박수를 치게 했다.

- 김종민. 같은 책, p33




토벌대는 큼직한 장작으로 무지막지하게 때렸어. 그러다가 여자고 남자고 할 것 없이 모두 옷을 홀랑 벗겼지. 나는 당시 마흔한 살이었는데 체면이고 뭐고 가릴 여지가 있나. 그냥 옷을 벗으라 하니 벗을 수밖에. 토벌대는 옷을 벗긴 채 또 장작으로 매질을 했어. 토벌대는 그 일에도 싫증이 났던지 얼마 없어서 처녀 한 명과 총각 한 명을 지목해 앞으로 불러내더니 모든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그 짓을 하도록 강요했어. 인간들이 아니었지. 두 사람이 어쩔 줄 몰라 머뭇거리자 또 매질이야. 그러다 날이 저물어 가자 주민 4명을 끌고 가다가 총을 쏘아 버렸지.

- 좌봉(1995년 당시 88세, 한경면 산양리) 씨의 증언, 4·3은 말한다 3권, 전예원, 1995, p82



난 ‘거슨새미오름’ 주변 천막에 보름을 갇혀 있으면서 고문을 많이 받았어요. 뒤로 몽둥이를 끼운 채 무릎을 꿇려 놓고 위에서 마구 밟았습니다. 지금도 잘 걷지 못해요. 난 당시 임신 중이었습니다. 임신했다고 사정했지만 통하지 않았어요. 결국 유산됐습니다.

- 차경구(1997년 당시 78세, 조천읍 선흘리) 씨의 증언, 4·3은 말한다 4권, 전예원, 1997, p321



주정공장 창고 부근에는 부녀자와 처녀들의 비명소리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서북청년단은 여자들을 겁탈한 후 고구마를 쑤셔대며 히히덕거리기도 했습니다.

- 4·3 당시 성산면 대동청년단장으로 제주도 전체에서 대표적인 우익인사 중 한 사람이었던 고성중(작고) 씨의 증언, 4·3은 말한다 5권, p69

http://news.egloos.com/1746235





<2011년 3월 제주문예회관에서 열린 '증언본풀이 마당' 에서
당시를 술회하는 박두선 할머니(83. 제주시 오라동)> 제주일보





제주어에 '속솜하다'는 말이 있다. 이는 '침묵하거나 아주 작게 말하다'는 뜻이다.

나는 제주 4.3이 발발한지 30년, 한 세대 정도 지난 1978년에 태어났다. 그리고 4.3이라는 것을 알고 최초로 어머니에게 물었던 게 스무 살이 되었을 때니까 일이 벌어진 지 50년이 지난 때다.
 
어른들은 그 당시의 일을 입에 담는 것을 철저히 금기시했고 그것을 내면화했다. 4.3의 기억은 제주 사람들의 일상습관을 바꿔버렸다. 어머니와 이모가 우연히 대화를 하는 것을 들었다.
 
별로 비밀 이야기가 아니었는데 속솜하게 말했다. 이 장면이 두고두고 이상했다.



비단 어머니와 이모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가 제주 4.3에 속솜했다.
 
과거사의 진실을 밝히자고 열변을 토했던 참여정부도 역시 제주 4.3의 거대한 뿌리는 만지지 못했다.
 
<나의 서양 미술사 순례>를 써서 '디아스포라'라는 말을 가르쳐준 '재일 조선인 2세'이자 도쿄 케이자이 대학교 현대법학부 교수인 서경식 씨는 '추천하는 말'에서 (강요배 화백의 4.3 화집 <동백꽃 지다>에 대한 추천사를 말함)

"'4.3'은 알지 못해도 되는 사건이 아니며 알 필요가 없는 사건도 아니다. 4.3은 '알지 못한다'는 것 자체가 무섭고 부끄러운 그런 사건인 것이다.(...)(9쪽)"라고 말했다.


1987년 대한민국에 절차적 민주화, 형식적 민주화가 실현된 것에 머무른 것처럼 제주 4.3 역시 단지 '특별법'이 통과되었을 뿐 그것의 역사적 의미나 이 사건이 주는 메시지를 알지 못했고,

그렇기 때문에 '4.3 특별위원회 폐지'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도는 것이다.
 
단지 제주인만의 문제, 피해의식적인 문제, 감성적인 문제, 빨갱이 문제에만 한정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좀더 성숙한 관심으로 세심하게 성찰해야 하지 않을까?

-김종민


http://blog.ohmynews.com/dajak97/tag/%EB%8F%99%EB%B0%B1%EA%BD%83%20%EC%A7%80%EB%8B%A4